이상종 에이스트레이딩 사장 "12년 노하우로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의 길잡이될 것"
“현지에서 12년간 축적한 역량과 노하우를 결집해 국내 최고의 ‘해외선물 대여계좌 길잡이’로 거듭나겠습니다.”
이상종 에이스트레이딩 사장(사진)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사장은 “일부 국내 해외선물 대여계좌가 베트남에서 큰 시련을 겪고 아무도 쳐다보지 않으려 했던 2007년, 에이스트레이딩은 호찌민에 사무소를 내고 현지 해외선물 대여계좌 전문가를 채용했다”며 “이들을 활용해 매년 해외선물 대여계좌 투자편람을 제작, 배포하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2015년까지 8년 동안 그렇게 하다 보니 국내외 해외선물 대여계좌 투자자들이 에이스를 베트남 전문 운용사로 인정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이 사장은 ‘넥스트 해외선물 대여계좌’로서 베트남의 잠재력을 확신하고 있다. 이 사장은 “두프라임을 비롯한 7000여 개에 달하는 해외선물 대여계좌 기업이 속속 모여들면서 베트남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며 “과거 한국이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을 이뤄냈던 것처럼 베트남도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의 지난해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성장률은 최근 10년 새 가장 높은 7.08%를 기록했다. 올해도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성장률이 6%대 중반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베트남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제시했다. 세계 평균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성장률(3.3%)과 신흥국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성장률(4.4%)을 크게 웃돈다.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을 키우기 위한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 노력도 긍정적”이라는 게 이 사장의 설명이다. 이 사장은 “베트남증권위원회(SSC)가 최근 외국인의 해외선물 대여계좌 한도를 폐지하고 호찌민거래소와 하노이거래소 간 합병을 추진하는 등 각종 증시 부양책을 내놨다”며 “SSC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 목표치를 기존 70%에서 100%로 높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목표가 달성되면 베트남 해외선물 대여계좌 사업 지수가 1160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 사장은 “올해 탕롱대여계좌를 인수해 현지 운용력의 경쟁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사장은 “지금까지 해외선물 대여계좌 위주로 투자해왔다면 앞으로는 메자닌, 대체자산 등에 투자하는 다양한 대여계좌 전략을 선보일 것”이라며 “이 같은 대여계좌 사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지 해외선물 대여계좌 운용사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축적의 힘을 믿는다”고 했다. 그는 “제대로 된 해외선물 대여계좌 매니저 한 명을 양성하는 데만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며 “2000년대 초반부터 넥스트 코리아를 물색해 베트남을 발견했고, 10년 이상 해외선물 대여계좌에 투자해 입지를 단단하게 다진 만큼 이제 결실을 맺을 날이 머지않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광주일고,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원 해외선물 대여계좌 등에서 일했다. 1997년 고교 동창이자 회사 동료였던 박현주 미래 해외선물 대여계좌 회장과 함께 미래 해외선물 대여계좌의 모태인 미래대여계좌를 창업했다. 박 회장과 동업하다 헤어진 1998년 이 사장은 에이스트레이딩의 전신인 에이스투자자문을 설립하고 독자 노선을 걸어왔다.
댓글
댓글 쓰기